현재의 PT자료실
-
근막통증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 MPS)이란?현재의 PT자료실/질환별 2018. 10. 11. 15:00
1. 근막통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 MPS)정의 (1) 우리 몸의 근육과 이 근육을 싸고 있는 근막을 눌렀을 때 통증이 오고, 이에 연관된 근육에 연관통을 일으키는 통증 유발점이 생겨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다. (2) MPS는 골격근 내 혹은 근막 내에 긴장된 띠 내의 과긴장점이라 하는 유발점에 의해 근육의 연축-통증-연축이 반복되는 병적인 과정으로 근골격계, 특히 연부조직에 의한 만성통증 중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질환 중의 하나이다. (3) MPS의 경우 가장 일반적인 진단적 기준은 통증유발점(발통점; trigger point: TrP)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4) TP란 골격근이나 이것과 관련된 근막 부위에 민감성이 지나치게 과도한 국소부위이며 한 근육에서 발생되는 MPS..
-
순환계 질환현재의 PT자료실/질환별 2018. 10. 9. 15:20
1. 혈전증 (Thrombosis) 심장이나 동정맥, 모세혈관 등의 생체순환계 내에 혈액의 구성 성분에 의한 고형의 덩어리로 혈전이 형성되는 기전이다. 백색혈전은 장시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고 적색혈전은 단기간에 진행된다. *수술후 혈전증의 예방: 환자의 체위를 자주 전환해주고 수술 후 가능한 조기에 가벼운 운동치료를 실시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다. 온열을 이용한 찜질을 한다. 2. 색전증 (Embolism) 어떤 고형물체가 혈류에 의해 운반되어 혈관강을 기계적으로 막는 기전이다. 3. 경색 (Infarction) 국소의 종동맥에 있어서 혈관이 폐색되어 그 부위로부터 말초로 혈액순환 장애가 일어나서 조직이 괴사에 빠지는 현상이다. 4. 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 동맥벽이..
-
말초신경의 손상과 증상현재의 PT자료실/질환별 2018. 10. 8. 17:00
1. 신경손상의 분류 (1) 신경차단(Neurapraxia): Wallerian 변성이 나타나지 않는다. 운동마비가 주로 나타나고 감각마비는 상대적으로 약하다. 전기진단시 비변성반응을 나탄낸다. (2) 축삭절단(Axonotmesis): 신경내막 결하조직이나 Schwann 세포의 손상없이 신경세포 축삭이 차단된 상태이다. 손상부위에서 완전한 축삭전도 장애가 나타난다. Wallerian 변성이 손상부위 이하와 손상부위와 근위부의 랑비에결절 사이에서 일어난다. 축삭의 재생은 보통 하루에 1~2mm/day 정도이다. (3) 신경절단 (Neurotmesis): 모든 막이 단절된 손상이다. Wallerian 변성이 손상부위 이하와 손상부위와 근위부의 랑비에결절 사이에서 일어난다. 모든 신경전도가 차단되고 손상신경으..
-
요통의 원인과 보존적 치료현재의 PT자료실/질환별 2018. 10. 7. 15:30
1. 추간판(디스크)에 가해지는 부하량 누운자세 늑골 순으로 진행된다. 7. 척추측만증 (Scoliosis) (1) 기립자세에서 검사: 양측의 어깨 높이는 철측(convexity side)의 어깨가 높아져 있다. 양측 견갑골의 형태는 흉추부의 철측(convexity side)에서 견갑골이 거상되어 있고 하각은 외측으로 회선되어 있다. 늑골의 형태는 철측(convexity side)이 후방으로 융기된다. 만곡의 요측부(concavity side)에서 피부의 주름을 볼 수 있다. (2) 보조기를 이용한 교정: 밀워키 보조기(Milwaukee brace), 특발성 측만증 20~40°정도의 경하고 유연성 있는 성장기 아동의 만곡에서 가장 효과적이다. 8. 골반경사 각도 (1) 치골결합과 요추 5번과 천추 1번 ..
-
십자인대, 측부인대, 극상근 등 연부조직의 손상현재의 PT자료실/질환별 2018. 10. 6. 17:10
1. 극상근의 병변 (1) 회선근개 :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 (2) 근육에 염증성 병변이 있을 때 약 60~120°의 외전범위에서 동통을 나타내는 원인이 된다. (3) 병변이 건골막 부위일 경우에는 수평위 부근에서 동통이 발생한다. 건골막 접합부의 심부일 때는 완전 거상을 했을 때 동통이 발생한다. 건의 원위부 끝일 때는 수평위와 완전 거상시 동통이 발생한다. 건염이 근의 접합부일 때는 동통이 발생하지 않는다. 2. 외측 상과염 (lateral epicondylitis, Tennis Elbow) (1) Romer에 의한 설명: 근염 혹은 섬유소염, 골막염, 활막염 혹은 관절염. (2) Cyriax에 의한 설명: 상완골의 외측상과와 공동신근 건의 건골막 접합부 파열, 요측 신근 복과 공동신..
-
탈구의 호발부위와 증상현재의 PT자료실/질환별 2018. 10. 5. 14:51
1. 탈구란? 선천성 혹은 습관성 또는 외력 등에 의해 관절이 파괴되어 인접하는 관절 연골면의 접촉이 완전히 상실된 상태. 2. 아탈구란? 관절 연골면의 접촉이 불완전하나마 어느 정도 남아있는 경우. 3. 습관성 탈구의 호발부위 견관절, 슬개대퇴관절, 주관절, 고관절, 악관절, 흉쇄관절, 견봉쇄골관절, 하요척관절 순으로 호발한다. 4. 탈구의 임상적 증상 (1) 손상 당시의 증상: 통증, 사지의 변형, 기능의 상실. (2) 손상 후기의 증상: 사지의 팽윤, 피하일혈, 강직, 근약화. 5. 탈구의 치료 정복 → 고정 → 보호 →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 → 안정 6. 견관절 탈구를 정복하는 방법 Hippocrates법, Stimson법, Milch법, Kocher법 7. 요골두의 아탈구 (1) 척골의 요골절..
-
관절 뼈질환의 증상과 원인현재의 PT자료실/질환별 2018. 10. 4. 01:30
1. 류마토이드 관절염 (1) 원인: 심한 과로, 정신적인 스트레스, 추위에 과다노출 , 만성적인 대사장애, 비타민 결핍, 연쇄상구균 등의 감염, 심한 영양실조, 호르몬의 부조화, 전신적 쇠약 (2) 임상적 특징: 관절에 동통이나 강직, 부종, 운동제한, 비교적 작은 관절에 대칭적, 근위 지절관절은 활액막 및 연부조직의 침범으로 방추상의 부종을 나타낸다. (3) 변형의 형태: 견관절은 상지의 내전 및 내회선 변형, 주관절은 굴곡과 전완의 회내선 변형, 수근관절은 척골편위, 수지관절은 백조목 변형(swan neck deformity)과 단추구멍 변형(Boutonniere), 모지는 game-keeper thumb의 형태 (4) 혈액 및 혈청 검사소견: 혈청검사에서는 류마토이드 인자의 검출 - IgM형이 류..
-
골절(fracture)이란?현재의 PT자료실/질환별 2018. 10. 3. 08:00
1. 골절이란? 뼈의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되거나 선상의 변형을 일으킨 상태 2. 골절의 정도에 따른 분류 (1) 완전골절 : 양측 피질의 연속성이 모두 손실된 경우 단순(폐쇄)골절(simple fracture), 매몰골절(impacted fracture), 분쇄골절(comminuted fracture), 개방골절(open fracture), 합병골절(complicated fracture), 압박골절(compression fracture) (2) 불완전골절 : 한쪽 피질의 연속성만 소실된 경우 균열골절(fissured fracture), 관통골절(perforating fracture), 함몰골절(depressed fracture), 그린스틱 골절(Greenstick fracture) 3.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