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십자인대, 측부인대, 극상근 등 연부조직의 손상현재의 PT자료실/질환별 2018. 10. 6. 17:10
1. 극상근의 병변
(1) 회선근개 :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
(2) 근육에 염증성 병변이 있을 때 약 60~120°의 외전범위에서 동통을 나타내는 원인이 된다.
(3) 병변이 건골막 부위일 경우에는 수평위 부근에서 동통이 발생한다. 건골막 접합부의 심부일 때는 완전 거상을 했을 때 동통이 발생한다. 건의 원위부 끝일 때는 수평위와 완전 거상시 동통이 발생한다. 건염이 근의 접합부일 때는 동통이 발생하지 않는다.
2. 외측 상과염 (lateral epicondylitis, Tennis Elbow)
(1) Romer에 의한 설명: 근염 혹은 섬유소염, 골막염, 활막염 혹은 관절염.
(2) Cyriax에 의한 설명: 상완골의 외측상과와 공동신근 건의 건골막 접합부 파열, 요측 신근 복과 공동신근 건 접합부의 파열, 장요측 수근신근의 기시부 파열, 요측수근신근의 근복파열
3. 십자인대의 손상
(1) 불행 삼주징 (unhappy triad of O'Donoghue): 전십자인대, 내측 측부인대의 파열, 내측 반월상 연골의 파열.
(2) 전방 끌림징후: 전십자인대 손상.
(3) 후방 끌림징후: 후십자인대 손상.
(4) 정형외과적 치료:인대의 파열이 경미하거나 부분적일 경우 굴곡위 석고 고정을 2개월 정도 실시한다.
(5) 물리치료: 부종의 방지나 순환증진을 위해 가능할 경우 등척성 수축운동과 능동운동을 실시한다. 약 8주 정도가 지나면 체중부하 훈련 실시한다.
4. 반월상 연골 손상의 진단
(1) 관절 조영술
(2) 관절경 검사
(3) McMurray검사: 반월상 연골에 열상이 있는지 여부를 평가한다.
(4) Apley 검사: 압박검사, 신연검사
(5) Watson-Jones검사
5. 측부 인대의 손상
(1) 내측 측부인대의 손상: 관절의 외측에서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외력이나 관절의 외회전, 외전 등에 의해 손상된다.
(2) 외측 측부인대의 손상: 관절의 내측에서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외력이나 관절의 내회전, 내전 등에 의해 손상된다.
6. 경추의 편타증(Whiplash Injury)
목이 갑자기 앞으로 과굴곡되거나 과신전되면서 경추부에 손상이 발생한다. 교통사고시에 흔히 일어난다.
'현재의 PT자료실 > 질환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막통증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 MPS)이란? (0) 2018.10.11 순환계 질환 (0) 2018.10.09 말초신경의 손상과 증상 (0) 2018.10.08 요통의 원인과 보존적 치료 (0) 2018.10.07 탈구의 호발부위와 증상 (0) 2018.10.05 관절 뼈질환의 증상과 원인 (2) 2018.10.04 골절(fracture)이란? (0) 2018.10.03 코어근육(core muscle)의 구성과 역할은? (0) 2018.09.14